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글로벌 감각, 로컬의 온기… 2025 밴쿠버 패션위크 개막

 2025 밴쿠버 패션위크(Vancouver Fashion Week, VFW)가 4월 8일부터 13일까지 6일간 밴쿠버 중국문화센터에서 열린다. 가을/겨울 컬렉션을 선보이는 이번 패션위크에는 10개국 이상에서 온 45명 이상의 디자이너가 초청되었으며, 8일 그 화려한 시작을 알렸다.   다양성과 지속가능성을 강조한 35명의 디자이너   올해는 45명의 디자이너가 참여하여, 정교한 오트쿠튀르부터 대담한 스트리트웨어까지, 밴쿠버 패션위크가 지향하는 ‘다양성’을 진정성 있게 풀어낸다. 관습을 벗어난 아방가르드 작품부터 시대를 초월한 클래식 스타일까지, 다양한 미학이 융합되어 패션의 확장성과 표현의 자유를 강조한다. 런던과 뉴욕 패션위크에서 큰 주목을 받은 디자이너 알렉스 S. 유(Alex S. Yu)를 비롯해, 단순함 속 대담한 창의성을 추구하는 DresSeema, 파리 패션위크에서 최신 컬렉션을 선보인 에두아르도 라모스(Eduardo Ramos)까지 개성 넘치는 글로벌 디자이너들이 함께한다. 또한, LaSalle College와 VCC 등 밴쿠버 로컬 대학 졸업생들의 작품이 소개되며, 신진 디자이너들의 꿈 역시 런웨이에 오른다.  디자이너의 철학과 변화의 과정, 그리고 K-패션의 활약   밴쿠버 패션위크는 단순히 디자이너들의 작품을 선보이는 자리를 넘어, 디자이너의 철학과 고유한 세계관이 런웨이를 통해 표현되는 순간이다. 각 디자이너의 고민과 지속적인 변화의 과정이 작품에 녹아들어, 다양한 시각이 어우러지는 런웨이에서 그 감동을 함께 나누게 될 것이다.   특히, 한국 디자이너들의 활약이 더욱 두드러진다. 한국의 고유 전통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풀어내며, 국제무대에서 K-패션의 위상을 더욱 높이고 있다. 이번 패션위크에서 K-패션이 어떤 반응을 얻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지속가능성을 핵심으로 한 혁신적 패션   지속가능성은 VFW가 주목하는 이번 시즌 핵심 키워드다. 업사이클링과 데드스톡 소재를 활용한 BC주 디자이너의 첫 데뷔 쇼가 예정되어 있어 이번 패션위크가 더욱 특별해지는 이유다. 이를 통해 VFW는 지속 가능성을 중심으로 패션의 환경적 책임을 강조하고, 패션 산업의 미래 지향적인 변화를 이끌어갈 예정이다.   밴쿠버 패션위크의 창립자 자말 압두라만(Jamal Abdourahman)은 "다양성은 VFW의 가장 큰 강점이며, 캐나다를 포함한 전 세계에서 모인 디자이너들이 밴쿠버 패션위크를 통해 가장 진보적인 아이디어를 선보인다. 이 무대는 모두에게 새로운 영감을 선사할 것"이라고 전했다. 밴쿠버 중앙일보 엄주형 기자 [email protected]패션위크 밴쿠버 밴쿠버 패션위크 파리 패션위크 뉴욕 패션위크

2025-04-22

전통에 락을 더하다… 한복 브랜드 ‘온다타:파랑’ 밴쿠버 패션위크 진출

 한복 디자이너 유수진이 2025년 F/W 밴쿠버 패션위크(Vancouver Fashion Week)를 통해 해외 컬렉션 무대에 첫 데뷔했다. 브랜드 ‘온다타:파랑’을 이끄는 유 디자이너는 이번 데뷔를 통해 한국 전통 의복인 한복의 정체성을 확장하고, 세계 패션 시장에 K-패션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했다.   “밴쿠버는 저희에게 실험의 무대이자, 브랜드가 다음 단계로 나아가기 위한 전환점이었습니다.” 11일(현지시간), 밴쿠버 패션위크 현장에서 기자를 만난 유수진 대표는 담담하지만 확고한 어조로 기자에게 말했다. 그녀는 이번 컬렉션을 통해 한복이 단아하고 정적인 이미지에 머무르지 않고, 무한한 해석의 가능성을 지닌 ‘움직이는 예술’임을 알리고자 했다. “입는 방식, 원단의 흐름, 겹겹이 쌓인 실루엣에서 나오는 리듬감까지… 한복은 정말 다채로운 언어를 가진 옷이에요.”   이번 컬렉션의 키워드는 ‘락(Rock)’이다. 반항, 자유, 해방 등 락이 지닌 상징적 에너지를 한복의 전통적 실루엣과 결합해 강렬한 대비를 창조했다. 유 디자이너는 “극과 극이 만날 때 가장 강력한 서사가 만들어진다”는 철학으로 디자인을 풀어냈다.   컬렉션에는 메탈 장식, 시폰 소재, 파워숄더, 건축적 구조감 등 기존 한복에서는 보기 어려운 요소들이 과감하게 활용됐다. 대표적인 룩으로는 멜빵과 샤 스커트를 결합한 의상, 볼륨감 있는 건축적 치마, 파워숄더 재킷 등이 있다.   “이것도 한복입니다” 유수진 디자이너의 핵심 메시지는 분명하다. 그녀는 한복이 고정된 전통복이 아니라, 현대적 감각과 문화 속에서도 끊임없이 진화할 수 있는 ‘대화의 언어’라고 본다. “입는 순간 박수를 치고 싶을 만큼 예쁜 옷. 저는 그런 한복을 만들고 싶어요.” 그녀가 특히 중요하게 여기는 전통 한복의 디자인 요소는 ‘깃’과 ‘겹겹이 얇은 원단의 날림’이다. “그 날림이 만드는 리듬감이 참 좋아요. 거기에 움직임이 담겨 있다고 느껴요.”   밴쿠버 패션위크에서 선보인 유수진 디자이너의 컬렉션은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의 경계를 넘나드는 실험적 시도”로 현장에서 뜨거운 반응을 이끌어냈다.   이번 해외 데뷔는 단순한 참여가 아닌, 브랜드 ‘온다타:파랑’의 정체성과 비전을 구체화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본다. “처음인 만큼, 저희 브랜드가 어떤 이야기를 품고 있는지를 명확히 보여주고 싶었어요. 앞으로 북미 시장은 물론, 다양한 글로벌 무대에서도 온다타:파랑의 색을 계속 전하고 싶습니다.” 유 디자이너는 이렇게 자신의 포부를 밝혔다.   K-pop의 글로벌 열풍과 함께 주목받고 있는 K-패션의 흐름 속에서, 유수진 디자이너의 이번 데뷔는 ‘한복’이라는 고유한 매체를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 상징적인 사례로 기록될 것이다.     엄주형 기자 [email protected]패션위크 밴쿠버 밴쿠버 패션위크 전통 한복 한복 디자이너

2025-04-22

전통에 락을 더하다… 한복 브랜드 ‘온다타:파랑’ 밴쿠버 패션위크 진출

 한복 디자이너 유수진이 2025년 F/W 밴쿠버 패션위크(Vancouver Fashion Week)를 통해 해외 컬렉션 무대에 첫 데뷔했다. 브랜드 ‘온다타:파랑’을 이끄는 유 디자이너는 이번 데뷔를 통해 한국 전통 의복인 한복의 정체성을 확장하고, 세계 패션 시장에 K-패션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했다.       “밴쿠버는 저희에게 실험의 무대이자, 브랜드가 다음 단계로 나아가기 위한 전환점이었습니다.” 11일(현지시간), 밴쿠버 패션위크 현장에서 기자를 만난 유수진 대표는 담담하지만 확고한 어조로 기자에게 말했다.     그녀는 이번 컬렉션을 통해 한복이 단아하고 정적인 이미지에 머무르지 않고, 무한한 해석의 가능성을 지닌 ‘움직이는 예술’임을 알리고자 했다. “입는 방식, 원단의 흐름, 겹겹이 쌓인 실루엣에서 나오는 리듬감까지… 한복은 정말 다채로운 언어를 가진 옷이에요.”   이번 컬렉션의 키워드는 ‘락(Rock)’이다. 반항, 자유, 해방 등 락이 지닌 상징적 에너지를 한복의 전통적 실루엣과 결합해 강렬한 대비를 창조했다. 유 디자이너는 “극과 극이 만날 때 가장 강력한 서사가 만들어진다”는 철학으로 디자인을 풀어냈다.       컬렉션에는 메탈 장식, 시폰 소재, 파워숄더, 건축적 구조감 등 기존 한복에서는 보기 어려운 요소들이 과감하게 활용됐다. 대표적인 룩으로는 멜빵과 샤 스커트를 결합한 의상, 볼륨감 있는 건축적 치마, 파워숄더 재킷 등이 있다.       “이것도 한복입니다”     유수진 디자이너의 핵심 메시지는 분명하다. 그녀는 한복이 고정된 전통복이 아니라, 현대적 감각과 문화 속에서도 끊임없이 진화할 수 있는 ‘대화의 언어’라고 본다. “입는 순간 박수를 치고 싶을 만큼 예쁜 옷. 저는 그런 한복을 만들고 싶어요.” 그녀가 특히 중요하게 여기는 전통 한복의 디자인 요소는 ‘깃’과 ‘겹겹이 얇은 원단의 날림’이다. “그 날림이 만드는 리듬감이 참 좋아요. 거기에 움직임이 담겨 있다고 느껴요.”   밴쿠버 패션위크에서 선보인 유수진 디자이너의 컬렉션은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의 경계를 넘나드는 실험적 시도”로 현장에서 뜨거운 반응을 이끌어냈다.       이번 해외 데뷔는 단순한 참여가 아닌, 브랜드 ‘온다타:파랑’의 정체성과 비전을 구체화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본다. “처음인 만큼, 저희 브랜드가 어떤 이야기를 품고 있는지를 명확히 보여주고 싶었어요. 앞으로 북미 시장은 물론, 다양한 글로벌 무대에서도 온다타:파랑의 색을 계속 전하고 싶습니다.” 유 디자이너는 이렇게 자신의 포부를 밝혔다.       K-pop의 글로벌 열풍과 함께 주목받고 있는 K-패션의 흐름 속에서, 유수진 디자이너의 이번 데뷔는 ‘한복’이라는 고유한 매체를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 상징적인 사례로 기록될 것이다. 밴쿠버 중앙일보패션위크 밴쿠버 밴쿠버 패션위크 전통 한복 한복 디자이너

2025-04-21

글로벌 감각, 로컬의 온기… 2025 밴쿠버 패션위크 개막

 2025 밴쿠버 패션위크(Vancouver Fashion Week, VFW)가 4월 8일부터 13일까지 6일간 밴쿠버 중국문화센터에서 열린다. 가을/겨울 컬렉션을 선보이는 이번 패션위크에는 10개국 이상에서 온 45명 이상의 디자이너가 초청되었으며, 8일 그 화려한 시작을 알렸다.   다양성과 지속가능성을 강조한 35명의 디자이너   올해는 45명의 디자이너가 참여하여, 정교한 오트쿠튀르부터 대담한 스트리트웨어까지, 밴쿠버 패션위크가 지향하는 ‘다양성’을 진정성 있게 풀어낸다. 관습을 벗어난 아방가르드 작품부터 시대를 초월한 클래식 스타일까지, 다양한 미학이 융합되어 패션의 확장성과 표현의 자유를 강조한다.   런던과 뉴욕 패션위크에서 큰 주목을 받은 디자이너 알렉스 S. 유(Alex S. Yu)를 비롯해, 단순함 속 대담한 창의성을 추구하는 DresSeema, 파리 패션위크에서 최신 컬렉션을 선보인 에두아르도 라모스(Eduardo Ramos)까지 개성 넘치는 글로벌 디자이너들이 함께한다. 또한, LaSalle College와 VCC 등 밴쿠버 로컬 대학 졸업생들의 작품이 소개되며, 신진 디자이너들의 꿈 역시 런웨이에 오른다.   디자이너의 철학과 변화의 과정, 그리고 K-패션의 활약   밴쿠버 패션위크는 단순히 디자이너들의 작품을 선보이는 자리를 넘어, 디자이너의 철학과 고유한 세계관이 런웨이를 통해 표현되는 순간이다. 각 디자이너의 고민과 지속적인 변화의 과정이 작품에 녹아들어, 다양한 시각이 어우러지는 런웨이에서 그 감동을 함께 나누게 될 것이다.   특히, 한국 디자이너들의 활약이 더욱 두드러진다. 한국의 고유 전통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풀어내며, 국제무대에서 K-패션의 위상을 더욱 높이고 있다. 이번 패션위크에서 K-패션이 어떤 반응을 얻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지속가능성을 핵심으로 한 혁신적 패션   지속가능성은 VFW가 주목하는 이번 시즌 핵심 키워드다. 업사이클링과 데드스톡 소재를 활용한 BC주 디자이너의 첫 데뷔 쇼가 예정되어 있어 이번 패션위크가 더욱 특별해지는 이유다. 이를 통해 VFW는 지속 가능성을 중심으로 패션의 환경적 책임을 강조하고, 패션 산업의 미래 지향적인 변화를 이끌어갈 예정이다.   밴쿠버 패션위크의 창립자 자말 압두라만(Jamal Abdourahman)은 "다양성은 VFW의 가장 큰 강점이며, 캐나다를 포함한 전 세계에서 모인 디자이너들이 밴쿠버 패션위크를 통해 가장 진보적인 아이디어를 선보인다. 이 무대는 모두에게 새로운 영감을 선사할 것"이라고 전했다. 밴쿠버 중앙일보패션위크 밴쿠버 밴쿠버 패션위크 파리 패션위크 뉴욕 패션위크

2025-04-1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